2022년 4분기 보안 동향
ASEC Report Vol.109에서는 2022년 4분기 동안 자사 인프라를 통해 수집된 악성코드 위협 통계와 MS-SQL 서버 대상 악성코드 통계 정보를 소개합니다.
특히 지난 분기와 비교하여 달라진 주요 악성코드 유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2022년 4분기 ASEC Report 주요 내용 <2022년 4분기 악성코드 위협 통계> 다운로더, Amadey 유포 증가로 4분기 최다 비중 차지 <2022년 4분기 MS-SQL 서버 대상 악성코드 통계> Trojan 유형 CLR 어셈블리 셸, 4분기 MS-SQL 서버 공격에 가장 많이 사용 |
이번 보고서에서는 2022년 4분기 동안 자사 인프라를 통해 수집된 악성코드와 취약한 MS-SQL 서버를 대상으로 하는 공격을 분석해 피해 현황과 관련된 통계 정보를 살펴봅니다. 각 유형에 대한 구체적인 점유율, 유포 방식 및 주요 기능도 분석했습니다.
2022년 4분기 수집된 악성코드를 분석한 결과, Downloader(42.5%), InfoStealer(39.0%), Backdoor(11.1%), Banking(3.5%), Ransomware(3.4%), CoinMiner(0.5%) 순서로 점유율을 차지했습니다. 지금까지는 인포스틸러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해왔으나, 이번 분기에는 Amadey 악성코드 증가로 인해 다운로더 유형 악성코드가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점이 특징입니다.
또한 해당 분기에 MS-SQL 서버를 대상으로 발생한 공격과 관련된 피해 현황과 통계를 다룹니다. 각각의 공격에 사용된 악성코드를 Trojan, CoinMiner, HackTool, Backdoor, Downloader, Ransomware와 같은 유형별로 분류한 후, 각 악성코드별 구체적인 통계와 분석 정보를 제공합니다.
2022년 4분기 ASEC Report 전문은 PDF 파일을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.
▶ 2022년 4분기 ASEC Report PDF 파일 다운로드
#악성코드 #분기통계 #MS-SQL #RAPIT #InfoStealer #Downloader #Backdoor #Ransomware